디지털 보험사, 고객 만족도에서 어떤 차이를 보일까?
디지털 보험사는 비대면 중심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편리성과 효율성을 강조합니다.
하지만 고객 만족도는 각 보험사의 서비스 품질, 디지털 플랫폼의 사용성, 고객 지원 체계 등에 따라 차이를 보입니다.
이번 분석에서는 2025년 기준 디지털 보험사 중 고객 만족도 상위 3개사를 선정하여 비교하였습니다.
1. KB손해보험 – 마이데이터 기반 맞춤형 서비스 강화
KB손해보험은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통한 개인 맞춤형 보장 분석과
AI 기반 위험 예측 모델을 도입하여 고객 만족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특히, '마이자산', '마이보험', '마이혜택' 등의 서비스를 통해
금융자산 통합 조회, 보험 보장 분석, 건강 관리 미션 수행 등을 지원합니다.
또한, 공공정보 연계 서비스를 통해 국세, 건강보험, 국민연금 등의 행정정보를 앱에서 조회할 수 있어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이러한 혁신적인 서비스는 고객의 자산 관리와 보험 활용을 보다 효율적으로 돕고 있습니다.
2. 하나손해보험 – 대면 채널 강화로 실적 개선
하나손해보험은 디지털 보험사로 출발했지만,
대면 채널을 강화하여 실적을 크게 개선하였습니다.
전속 설계사와 보험대리점(GA) 채널을 중심으로 대면 영업을 확대하였으며,
2024년 기준 대면 모집 수입보험료가 온라인 채널을 넘어섰습니다.
이러한 전략은 고객과의 직접적인 소통을 통해 신뢰를 구축하고,
복잡한 보험 상품에 대한 이해를 돕는 데 효과적이었습니다.
3. 캐롯손해보험 – 사용 기반 보험료로 차별화
캐롯손해보험은 '퍼마일 자동차보험' 등 사용 기반 보험료 모델을 도입하여
고객의 실제 사용량에 따라 보험료를 책정하는 방식을 적용하였습니다.
이러한 모델은 공정성과 합리성을 중시하는 고객들에게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또한, 앱을 통한 간편한 보험 가입과 관리가 가능하여
디지털 친화적인 고객층에게 호평을 받고 있습니다.
다만, 2024년 기준 적자 폭이 크다는 점은 개선이 필요한 부분입니다.
디지털 보험사 TOP 3 비교 표
보험사 주요 특징 고객 만족도 요소 비고
KB손해보험 | 마이데이터 기반 맞춤형 서비스 | 자산 통합 조회, 보장 분석 | 디지털 서비스 강화 |
하나손해보험 | 대면 채널 강화로 실적 개선 | 직접 상담, 신뢰 구축 | 대면·디지털 병행 전략 |
캐롯손해보험 | 사용 기반 보험료 모델 도입 | 공정한 보험료, 간편 가입 | 디지털 친화적 서비스 제공 |
결론: 디지털과 대면의 조화가 핵심
디지털 보험사의 고객 만족도는 단순히 비대면 서비스의 편리성뿐만 아니라,
고객과의 신뢰 구축, 맞춤형 서비스 제공, 사용 기반의 공정한 보험료 책정 등 다양한 요소에 의해 결정됩니다.
KB손해보험은 디지털 서비스를 강화하여 고객 만족도를 높였고,
하나손해보험은 대면 채널을 통해 신뢰를 구축하였으며,
캐롯손해보험은 사용 기반 보험료 모델로 차별화를 시도하였습니다.
따라서, 디지털 보험사는 고객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
디지털과 대면의 조화를 이루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보험 리모델링·가입 전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손보험 청구 간소화, 추천 앱 TOP 3 (2) | 2025.05.23 |
---|---|
자녀 보험, 성장단계별 설계가 중요한 이유 (1) | 2025.05.23 |
운전자보험 없이 괜찮을까? 리스크 완전 분석 (1) | 2025.05.23 |
암보험 진단금, 얼마가 적절할까? 전문가 기준 공개 (0) | 2025.05.23 |
보험 청구 시 자주 하는 실수 TOP 5 총정리 (1) | 2025.05.23 |